book review/자기계발

더 해빙: 부와 행운을 끌어당기는 힘 - 이서윤, 홍주연

Investor__ 2021. 8. 14. 12:37
반응형

 

돈에 대해서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고 어떻게 해야 부와 행운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책이다.

 

1. 편안함과 불안함

 

두려움과 걱정이라는 감정은 내 마음 속의 상상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한발짝 물러서서 생각해보면 실제로 그 일이 일어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다양한 부정적인 시나리오를 그리면서 생겨나는 경우가 많다.

디모데후서 1장 7절에 보면 이런 말씀이 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요 오직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이니'

걱정과 두려워하는 마음은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 아니다.

불안과 걱정이라는 감정이 잠시 내 마음에 찾아올 수는 있지만 거기에 집착하고 그것을 끊어내지 못하면 몸과 정신이 망가질 수 밖에 없다.

 

제가 만난 수많은 부자들은 대부분 돈에 대해 편안한 마음가짐을 유지하고 있었어요.

부자여서 마음이 편안한 것이 아니라 돈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안한 마음이 그들을 부자로 이끌었죠.

 

우리 마음속에는 두 개의 자석이 있는 거에요. 불안과 긴장의 자석은 돈을 밀어내고 기쁨과 편안함의 자석은 돈을 끌어당기죠.

자신이 부정적인 감정을 잘 다스리셔야 한다는 것이죠. 좋은 흐름이 온다 해도 부정적인 감정으로 스스로를 가라앉힌다면 결코 그 흐름을 탈 수 없는 법이니까요.

 

불안은 자연스러운 감정이에요. 마치 배가 파도에 흔들리는 것처럼요.

중요한 것은 불안에 빠져 목표를 잃어서는 안 된다는 것예요.

항해하다 보면 때로는 배가 파도에 심하게 흔들릴 수도 있고 뱃멀미를 할 수도 있겠죠. 

문제는 이러다 배가 난파하면 어쩌나 하고 불안에 굴복한다는데 있어요.

배가 흔들리는 것도 항해의 일부라는 걸 잊으시면 안 돼요.

 

지금 흔들린다 해도 우리는 계속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고 있음을 잊지 말아요. 여전히 안전해요.

불안을 목적지에 도착하는 과정의 일부로 받아들이면 그것을 떨쳐내기 위해 과장된 행동을 하지 않을 수 있지요.

마음이 실컷 불안해하고 조바심을 내도록 두고 영혼이 이끄는 대로 편안함을 따라 행동하세요. 

그럼 자연스럽게 행운을 끌어올 수 있어요.

 

2.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

 

편안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책에서는 혼자만의 시간을 갖으라고 한다. 

SNS나 뉴스를 보면 나에 대한 내용은 없고 다른 사람에 대한 내용이 많기 때문에 온전히 나에게 집중할 수 없다.

사람은 본성이 질투를 많이 하는데 잘 나가는 다른 사람의 SNS을 보면서 그것을 갖지 못한 내 현실에 불만을 갖기도 한다.

SNS 사용시간과 행복은 반비례한다는 통계도 어디서 본 것 같다.

이런 것과 관심을 돌리기 보다는 조용히 편안함을 위해서 나 자신만의 시간을 가져보라고 한다. 

 

물론 안 좋은 일이 생겼을 때 혼자만의 시간을 갖으면 오히려 그게 안 좋게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계속 그것을 떠올리게 되고 만약 이렇게 되면 나는 어떻게 되는거지라는 생각이 끊임없이 꼬리에 꼬리를 물게 된다.

결국 혼자의 시간을 보내면서 무엇을 하는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나 같은 경우에는 안 좋은 일이 생기거나 일이 안 풀리면 혼자의 시간을 보내되 성경을 묵상하고 기도를 하는 시간을 갖는다. 걱정과 근심과 두려움은 혼자만의 힘으로 떨쳐내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혼자만의 시간을 가진다면 마음을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될거에요.

현대인들은 자신보다 타인에 초점을 맞추는 시간이 많아요. 

여가시간에도 TV나 스마트폰 등을 통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는데 감정을 낭비하곤 하죠.

안타깝게도 그렇게 되면 필요 이상의 부정적인 감정에 휩쓸리기 쉬워져요.

나 자신과 함께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목욕을 해도 좋고 잠시 눈을 감고 명상을 해도 좋아요. 책을 보며 자신의 마음을 돌아봐도 좋고요.

오직 자신을 돌보는 데 약간의 시간을 쓰는 것만으로도 충분해요.

 

평상시 우리의 눈은 세상과 다른 사람을 향해 있죠.

하지만 혼자 있는 시간을 가지게 되면 그 눈을 나 자신에게 돌릴 수 있어요.

그럼으로써 스스로와 소통하는 법을 배우게 되는 거죠.

 

 

3. 해빙

 

이 책의 핵심이 되는 내용이다.

편안하게 내가 가지고 있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다.

돈을 어떻게든지 끌어당기기 위해서 무리하게 애쓰는 사람보다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사람한테 오히려 부가 향하는 것을 볼 때가 있다.

그런 사람들을 만나면 일단 인생이 각박하지도 않고 함께 있으면 힘이 나고 기분이 좋아진다.

 

간절히 원하는 마음은 '결핍'에 집중하는 거에요. 나한테 지금 없다고 느끼기에 그런 마음이 생기는 거죠.

Having은 물살에 튜브를 타고 편안하게 흘러가듯 흐름에 몸을 맡기는 것이지요.

자연히 순탄하고 편안할 수 밖에 없어요.

 

'나는 가지고 있다(I have~)'로 지금 자신에게 있는 것을 적고 '나는 느낀다(I feel~)'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면 돼요.

 

가장 먼저 눈에 띈 것은 '있음'의 기쁨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노트에 따르면 나는 더 자주 더 강하게 Having을 느끼고 있었다. 그 감정이 강해질수록 돈과 행운도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부자들은 무의식에 돈이 '있음'을 입력하죠. 우리 뇌는 어떤 명령을 입력받느냐에 따라 그에 맞는 운의 흐름을 선택하게 되거든요.

 

 

4. 상생

 

결핍보다 있음에 집중하게 되면 만족하게 되고 감사하게 된다.

그리고 그 때부터는 그것을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것이 다시 나에게 돌아오고 선순환에 들어서게 된다.

 

상생은 having의 파워를 가장 확실하게 증폭시키는 방법이죠.

'있음'에 대한 기쁨과 감사함이 나를 채우고 넘쳐서 상생의 마음이 되는 거에요. 

좋은 인연에 투자하고 가진 것을 나누는 것처럼 '있음'을 확실하게 새기는 방법도 없거든요.

그리고 그 마음이 결국 자신에게 더 큰 부로 돌아오게 되죠. 다시 말하면 상생은 자신의 부에 대한 가장 확실한 투자에요.

 

세상에서 가장 귀한 일은 사람을 알아보고 믿고 그에게 투자하는 것이다.

 

 

5. 좋은 인연과 나쁜 인연

 

인연을 잘못 맺어서 인생이 망가지고 불행해지는 경우를 너무 많이 보았다.

악연을 끌어드리는 것도 결국은 내 마음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가장 안 좋은 것은 과도한 욕심이다. 

성경에 이런 구절이 있다.

 

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됨이니.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

- 야고보서 1장 14-15절

 

사람들이 소중한 마음을 귀한 인연에 써야하는데, 그 마음을 악연에 쏟는다면 불행을 불러오게 되죠.

사람의 행불행은 다른 사람과의 인연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요.

행운이 귀인을 통해 들어오듯 불행은 악연을 통해 찾아오는 일이 많거든요.

 

사람들이 악연에 쉽게 빠지게 되는 이유는 과도한 기대 때문이에요.

상대에게 받기만을 바라는 마음이 자신의 눈을 멀게 하죠. 

반면 '먼저 준다', '받은 것보다 더 많이 돌려준다'는 마음이라면 악연을 피하고 좋은 인연을 만날 수 있어요.

 

6. 고정관념

 

이랜드 박성수 회장은 대학4학년 때 근육무력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근육이 점점 약해져서 전신마비에 이를 수 있는 특별한 치료법이 없는 무서운 병이라고 한다.

젊은 나이에 청천병력 같은 이야기였지만 2년 6개월 동안 병상에서 3,000권의 책을 읽으면서 이랜드를 설립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게 된다.

 

좋은 일과 나쁜 일은 항상 생길 수 밖에 없다. 이 때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중요하다.

나쁜 일이 생겼을 때 세상이 주는 고정관념에 잡혀서 주저 앉는 경우도 많지만 그것을 기회 삼아서 내 인생의 득이 되게 하기도 한다.

 

나를 사랑하시는 하나님, 그리고 모든 것을 하실 수 있는 하나님의 속성을 항상 기억하면서 그 분을 믿고 의지한다면 힘든 일이 생겨도 세상이 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일어설 수 있다.

로마서 8장 28절을 항상 기억하자.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협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문제는 고정관념이에요. 이십대여도 고정관념에 붙잡혀 있다면 having의 효과를 보기 힘들죠.

반대로 칠팔십 대라도 고정관념에서 자유롭다면 언제든 having을 통해 부자가 될 수 있어요.

 

고정관념은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렌즈를 흐리게 하고, 부자가 되는 길을 막아버리죠.

 

우리는 좋은 일과 나쁜 일을 다 정해놓고 그에 따른 감정까지 사회적으로 규정해놓죠.

연인이나 배우자와 헤어지는 것, 건강이 안 좋아지는 것, 일이나 사업이 잘 안 되는 것...이런 일들이 항상 힘들고 불행한 일일까요?

모든 사건은 항상 반전의 기회를 갖고 있어요. 중요한 시기에 주어지는 달콤한 일들이 나중에 독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누가 보아도 불행한 일이 사실은 그 사람을 다시 태어나게 하는 경우도 많죠. 

저만 해도 건강이 안 좋아진 시기에 생각치 못했던 깨달음을 얻어 일의 진전을 이루곤 했어요.

 

감정에 대한 고정관념은 과학적 진실이 아니에요. 그것은 사회적 통념일 뿐이죠. 

문제는 사람들이 거기에 묶여 있을 때 생겨요. 고정관념은 사람을 특정 감정에 얽매여 이미 닫혀버린 문만 바라보게 만들거든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