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관련 기사

한국경제신문 투자관련 기사(2025.03.05)

Investor__ 2025. 3. 5. 14:58
반응형

1. 차세대 AI통신 선점나선 중국

- 화웨이는 국가 혹은 대륙 간 넓은 지역에 걸쳐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광역통신망(WAN)에 AI를 결합한 AI-WAN을 발표

  AI가 두뇌역할을 하면서 라우터(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목적지로 전달하는 장치)와 커넥션(라우터 간 연결 통로)을 관리하는 기술

  드론 1만대를 동시에 운용하는 등 현대전에서 수많은 장비가 무선통신망에 연결되었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

- 아직 아이디어 차원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미래 통신기술인 6세대 네트워크의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

 

2. 7조 홈플러스 M&A휴유증, MBK벼랑끌 전술 택했다.

- MBK 관계자는 "법원의 신속한 결정으로 일반적인 상거래 채무는 회생절차에 따라 전액 변제되고 임직원 급여 지급에도 영향이 없을 것"

- MBK는 홈플러스 M&A를 기업 경영권 거래가 아니라 부동산 금융 거래로 간주해 인수전에 뛰어듦

  세일앤드리스백(매각 후 재임차), 마스터리스(책임임대차, 통임대 후 재임대) 등 부동산 금융을 총집합한 금융거래

- 온라인 쇼핑이라는 소비 트렌드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함 / 쿠팡의 부상

  홈플러스 자체의 경쟁력도 하락 /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를 매물로 내놨고, 홈플러스 매장은 꾸준히 매각하거나 폐업하고 있음

 

3. 동맹도, FTA 체결국도 안 가린다. 트럼프 막가파식 관세폭격

- 지난해 미국에서 팔린 신차의 4분의 1은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조립됨

  관세 부과 시 평균 미국 자동차 가격이 약 3000달러 오를 수 있다는 전망. 신차 가격 상승 예고로 인해 중고차 가격도 상승세

- 한국이 10% 상호관세를 받고 자동차에 25% 관세가 적용되면 울산에서 생산한 현대자동차는 미국으로 수입될 때 35% 관세를 내야 함

  미국에서 생산하라는 것

 

4. TSMC, 미국 빅테크 물량 싹쓸이 하나…고민빠진 삼성

- TSMC는 미국에 추가적으로 1,000억 달러를 투자해 파운드리 공장을 설립한다고 발표

  20년 이후 공개한 투자 규모는 1,650억 달러

  미국에 본사를 둔 대형 고객사와 가까운 거리에서 협력할 수 있음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HBM을 만드는 메모리 기업도 미국 내 생산기지 추가 건설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

- 글로벌 파운드리 점유율: TSMC 64.9% / 삼성전자 9.3% / SMIC 6.0% / UMC 5.2% / 글로벌파운드리 4.8% / 기타 9.8%

  주요 반도체 기업 미국투자: TSMC 1,650억 / 마이크론 1,250억 / 인텔 1,000억 / 삼성전자 370억 / SK하이닉스 38.7억

 

5. 챗GPT 쓰지마. AI금지령에 직장인들 울상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 우리은행 등 주요 대기업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금융감독원, 국방부 등 공공기관은 챗GPT, 딥시크 등 생성형 AI의 업무 사용을 금지하고 있음

  핵심 특허기술, 내부기밀, 시민 개인정보 등 민감한 정보가 생성AI에 입력되면 외부에 넘어갈 수 있기 때문임

- 직원들은 생성AI를 쉽게 포기할 수 없어 외부 네트워크로 접속한 뒤 몰래 사용하는 사례가 빈번함

 

6. AI는 늦었지만, AX는 앞서가자

- 에이전트AI란 설정된 목표를 위해 자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AI시스템 / 상품기획 에이전트, 구매 에이전트 등 

산업별 데이터 및 도메인 노하우를 기반으로 한 산업 특화 AI에이전트 / AI원천기술보다 산업별 데이터와 노하우가 중요

- 물리적 AI는 실제 물리적 세계를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 지능형 시스템

  자율주행차, 로봇드론, 자동화 시스템 등

  전력 소모에 매우 민감하기에 초저전력 반도체 개발이 중요함

- 일반 에이전트 AI는 늦었지만 산업 특화 에이전트 AI, 물리적 AI는 앞서가자.

  GPU는 늦었지만 초저전력 AI반도체는 앞서가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