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 확실한 것은 없다.
모든 것은 확률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단기간에 주가가 너무 급하게 많이 올랐다면 조정의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그리고 주가가 과거에 저항을 많이 받았던 가격대 부근에서는 그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지기 때문에 그 확률은 더 올라간다고 할 수 있다.
주가의 힘이 정말 강하다면 그 저항선을 한번에 뚫을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인 경우라면 조정 후에 다시 돌파 여부를 시험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
확실한 것은 없기 때문에 예단해서는 안되지만 적어도 조정의 확률은 높아진 것이다.
여기서 생각해 볼 점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이러한 확률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이다.
두번째는 위와 같은 단기 급등 후 조정의 가능성이 높아졌을 때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는가이다.
1. 확률의 측정방법
차트를 면밀히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 세력이 주가(특히 대형주의 경우)를 좌지우지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차트에는 며칠에 걸쳐서 징조가 나타난다.
어디에서 지지가 발생하고 어디서 저항이 발생하는지
매수가 더 강한지, 매도가 강한지를 계속 체크해 봐야 한다.
월봉, 주봉, 일봉, 60분봉을 돌려보면서 다양한 시간대에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
2.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는가?
단기 급등 후 조정의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판단이 될 때 어떻게 이에 대비해야 할까?
가장 쉬운 방법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수익이 난 포지션을 일부 정리하는 것이다.
단기고점 신호가 나왔을 때 바로 줄이는 방법이 있을수도 있고,
아니면 트레일링 스탑 지점을 좀 더 타이트하게 붙여서 주가 하락 시 빠르게 청산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조정 없이 주가가 상승 시 수익을 계속 누적해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콜옵션 매도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단기 급등으로 인해서 콜옵션의 내재변동성이 상승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좋은 가격에 매도할 수 있다.
저항선 부근이므로 주가가 단기적으로(며칠 동안) 횡보할 수 있으며 옵션의 시간가치 하락분을 수익으로 챙길 수 있다.
하지만 주가의 상승세가 강한 상태이므로 저항선을 바로 돌파할 경우 손실이 커질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하며 공격적인 포지션 구축은 어렵다.
풋옵션 매수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익금의 5% 정도만 옵션 매수에 사용하더라도 주가 하락에 대한 방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만약 주가가 상승하더라도 주식 포지션에서 수익이 많이 날 것이며 옵션가치 하락은 큰 부담은 안될 것이다.
주가가 옆으로 횡보하는 경우가 좀 애매한데 이를 대비해서 콜옵션 매도와 풋옵션 매수를 섞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리고 미국주가지수나 개별주식들의 움직임을 참고해서 횡보 가능성과 주가 상승 또는 주가 하락 확률을 생각해보고 이에 가장 적합한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주가가 차트에 찍히고 나면 참 쉬운데 그 일이 실제로 벌어지기 전에는 너무 불명확하고 어려운게 주식이다.
하지만 신경을 곤두세우고 부지런히 시장을 관찰한다면 확실하게는 알 수 없어도 확률의 크고 작음은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해야 예상하지 않고 이기는 트레이딩을 할 수 있을까?
고수들이 그랬듯이 트레이딩을 '예상의 게임'이 아니라 '확률의 비지니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길 확률이 높은 지점, 즉 트레이딩 에지가 잇는 곳을 찾아 그곳에서 베팅하는 것이다.
- 실전 추세 투자법